#화폐의 가치를 결정한다. '금본위제'란?
자본주의가 생긴 이례로 가장 큰 고민은 바로 화폐 가치의 안정성이었습니다.
지금은 미국 달러를 기축통화로 삼음으로써 각국의 통화 가치를 가늠할 수 있는데요.
과거엔 무엇을 기준으로 삼았을까요? 그것은 바로 '금'이었습니다.
그래서 영국이 생각해낸 방법이 바로 오늘 소개할 '금본위제'이죠.
금본위제는 쉽게 설명하면 금과 화폐 가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전략으로
예를 들어 금 115 gr(그레인, 약 7g) = 1 GBP(파운드) 식으로 화폐 가치가 유지될 수
있게 화폐 발행을 제한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금본위제를 시행할 때 각국의 중앙은행은 통화량의 가치로 금이 환산될 수
있게 해당량 만큼의 금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즉, 화폐를 더 발행하기 위해선
그 화폐의 가치 만큼 중앙은행이 금을 확보해야 하는 것이죠.
#금본위제, 세계화를 촉진시키다.
이렇게 촉발된 금본위제는 세계화의 발판이 되었습니다. 그동안 각국 통화의
안정성에 대해 보장할만한 대상이 없었는데 금의 가치는 어느 나라를 가던
어느 정도 일정한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귀금속이었기 때문이죠.
그래서 영국 파운드는 초기 금융시장의 기축 통화가 되었습니다.
* 그도 그럴것이 당시 미국 1$(달러) = 금 23 gr이었습니다. 영국이 금본위제를 시작한 1819년 미국은 영국에 비하면 개발도상국 수준이었던 것이죠. 물론 산업 혁명 이후로 둘의 관계는 역전됩니다. |
현재 인플레이션 및 저성장 기조로 고통받는 영국과는 전혀 다른 이야기이지요.
그래서 초기에 많은 식민지를 보유해 금 수급이 원활한 프랑스와 영국은 금융
시장의 패권을 장악할 수 있었고 당시 엄청난 발전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금본위제, 변화하기 시작하다.
이런 통화 안정 제도로 금본위제만 존재하는 것은 아닙니다. 금본위제를
본떠 다른 나라들은 변형된 제도를 시행하게 되었는데 그건 다음과 같습니다.
- 복본위제 : 금과 은을 동시에 사용하는 금본위제의 변형 제도
- 은동복본위제 : 구하기 힘든 금을 대신해 은과 동을 사용하는 제도
- 금화 금본위제 : 금화 자체가 화폐로써 시장에 유통되는 구조
- 은본위제 : 금 대신 은을 사용하는 구조.
현재는 금본위제가 갖고 있는 단점(디플레이션 유도, 금 매장량 부족 등)으로 인해
폐지되었지만 지금도 경제를 확인하는 지표로 금값을 보는 이유는 위와 같은
이치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현재는 '변동 환율제'라는 제도를 통해 통화 가치를 감시하고 있습니다.
내년 변경되는 노동법의 핵심 '주휴수당 폐지'는 무엇인가? (0) | 2022.12.28 |
---|---|
자주포와 탱크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0) | 2022.12.15 |
무슬림들의 할랄 음식이란 무엇인가? (0) | 2022.12.05 |
혼인 무효 소송과 취소 소송의 차이점 (0) | 2022.12.05 |
최근 주목 받고 있는 '탄소 중립'은 무엇을 말하는가? (0) | 2022.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