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려줘요. 스피드웨건! 클로로의 잡학창고

반응형

#사모펀드(Private Equity Fund), 그들만의 리그

 

사모펀드는 여러 가지 말로 설명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에선 '기업사냥꾼'

 

이미지가 강합니다. 원래는 벤처투자를 적극적으로 독려하기 위해 만들어진

 

펀드이나 자본주의 성향이 강해지면서 지금은 부동산 및 부실기업 M&A를 통한

 

기업 사냥이 그들의 주요 먹잇감이 되었죠.

 

 

사모펀드는 최대 49명까지 투자자를 모집할 수 있기에 일반 투자자들에겐 허들이

 

높습니다. 왜냐하면 인원 제한이 있기에 더 많은 투자금을 확보하기 위해선

 

1인당 투자금의 규모가 커야 하거든요.그래서 기본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자산이

 

1억 이상이 되는 투자자들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모펀드는 블라인드 펀드라고 하여 개인 투자자에게 펀드의 투자처를 정확하게

 

알려주지 않습니다. 투자의 성향에 대해선 설명할수 있지만 만약 직접적으로 투자처를

 

알게 되면 펀드가 제대로 된 기능을 할 수 없기 때문이죠.

 

론스타 아시죠?

 

#사모펀드의 핵심 GP란?

 

GP는 General Partner의 약자로 펀드 운용의 가장 핵심 되는 인물입니다. 

 

사모펀드는 위에서 설명한 것 처럼 블라인드 펀드로 운영되기 때문에 결국 펀드를

 

운용하는 GP의 능력을 믿는 수 밖에 없습니다.

 

 

GP의 역할은 이런 출자금을 가지고 투자 대상 기업을 물색하여 지분을 확보하여

 

경영권을 인수합니다. 그래서 GP의 경우 학벌이 기본적으로 전제되어 있어야 하며

 

재계 인맥 또한 중요한 능력이 됩니다.

 

 

만약 GP가 별로 유명하지 않고 학벌 또한 시원치 않다면 펀드 투자자들이 투자의 

 

신뢰성을 담보할 것이 없기 때문에 투자를 망설이게 되겠죠.

 

결국 GP는 사모펀드의 '얼굴 마담'입니다.

 

 

#폐쇄형과 개방형의 차이는?

 

사모펀드의 경우 그 투자 대상이 수익을 내기 위해선 상당히 오랜 기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폐쇄형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최근엔 때에 따라서 오픈형으로

 

운영되기도 하는데 둘의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 폐쇄형 : 일정 투자 기간 동안 어떤 이유에서도 투자자는 돈을 돌려받지 못함.

 

- 개방형 : 투자 기간 동안 투자자의 의향에 의해서 돈을 돌려 받을 수 있음.

 

 

최근에는 이 두가지 유형을 섞어서 만든 TRS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TRS(Total Return Swap)는 투자자가 펀드에 전액을 현금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30%~50% 정도 현금 투자를 하고 나머지 비율은 은행권에서 대출을 해줘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그렇기에 투자금을 중간에 회수가 가능해지는 것이죠. 하지만 예전 폭탄이 되었던

 

모기지론과 같은 리스크를 갖고 있는데 펀드 운용 시 손실의 위험성이 커지면

 

좀 더 많은 증거금을 펀드 운용사는 은행에 납입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펀드 운용사의 경우 수익율이 낮아지는데 최악의 경우 손실에 대한

 

리스크를 전부 개인이 져야 하기도 합니다.

 

 

#사모펀드와 헷지펀드의 차이점

 

이 2가지의 가장 핵심적인 차이는 '투자처''회수 기간'입니다.

 

사모펀드는 기업의 경영권과 부동산 등 장투가 목적인 펀드이나 헷지 펀드의 경우

 

단기간 운용을 통한 수익 창출이 목적이기에 상당히 다양한 종목에 

 

투자를 합니다.

 

 

- 사모펀드 : 기업의 경영권, 부동산 등 장기 투자 목적

 

- 헷지펀드 : 빠른 수익이 목적, 높은 위험성, 유동자산에 투자

 

 

즉, 장기간 투자를 해 안정적인 수익을 얻고 싶다면 사모펀드

 

공격적인 투자를 해 리스크는 크지만 빠르게 수익을 올리고 싶다면 헷지펀드로

 

구분하시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