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려줘요. 스피드웨건! 클로로의 잡학창고

반응형

#최근 비급여 병원(피부과) 및 화장품 회사의 신박한 광고 방법

 

여러분 최근 유튜브 숏츠 밎 릴스 영상을 보시면서 특이한 점 발견하신거 없으세요?

 

바로 정보성 영상의 변화인데요. 예전 정보성 영상의 경우 우리가 진짜 몰랐던 정보나

 

지식들을 엮어서 재미나게 순위로 표시하였습니다.

 

 

하지만 최근 유행하는 숏츠 및 릴스는 경향이 조금 다른데요. 예전과 비슷한 모양새를

 

갖추었으나 중간 중간 전혀 관계없는 혹은 실제론 유명하지 않는 제품과 정보를

 

교묘히 집어넣어 홍보를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1위부터 3위까지는 순수 정보 혹은 어그로 끌기 좋은 정보들을

 

넣고(숙취 해소 방법, 편두통의 원인 등 조회수 나오기 좋은) 4위에 갑자기

 

피부과 직원만 아는 비밀 연고라든지 마스크팩 등의 정보를 넣는 방식입니다.

 

 

#원래는 영화에서 사용하던 방식 'PPL'

 

사실 이 기법이 완전히 새롭게 나온건 아닙니다. 기존 영화계 및 드라마에서

 

많이 사용하던 PPL 기법인데 방식을 조금 바꾼것 뿐이지요.

 

 

PPL 기법에 대해선 모두들 익숙히 아시죠? 극과 전혀 상관없는 제품이지만 슬쩍

 

관객에게 비춤으로써 고객에게 브랜드를 각인시키는 방식이요.

* 물론 최근 과한 PPL 노출에 대한 조롱이 밈이 되서 요즘엔

   대놓고 홍보하기도 하지만요.

 

이걸 숏츠 및 릴스에 적용시킨게 지금의 결과물입니다.

 

 

그래서 기존 정보를 긁어 모아 조회수를 빨던 숏츠 유튜버들이 이런 광고

 

형식을 진행하는 광고 대행사와 손을 잡게 되면서 우리의 타임라인은 쓸데없는

 

영상으로 도배가 되고 있는것이죠.

 

 

#어느 정도의 제재는 필요해 보이지만 방법이 없다.

 

사실 숏츠 유튜버들은 지금 신이 났을꺼에요. 기존 조회수 광고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제품 홍보비도 받게 되었으니까요. 어떻게 보면 부럽기도 하네요.

 

제가 돈만 생각하는 마케터였다면 충분히 실행할 수 있는 방식이니까요.

 

 

하지만 전 저만의 철칙이 있기에 이런 방식은 못하겠더라구요.

 

그렇다고 이런 방식의 광고 자체를 비난할 생각은 없습니다. 시대가 변화하는

 

만큼 광고 방식도 진화 하는 거니까요.

 

 

다만 유튜브란 채널이 성인부터 어린아이까지 누구나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플랫폼

 

이기에 이런 잘못된 혹은 의도적으로 왜곡된 정보에 무방비적으로 노출되는 환경이

 

조금은 우려스럽긴 합니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