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식시장의 꽃, 파생상품
전통적인 의미의 파생상품으로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옵션, 선물, 스왑 등이
있는데요. 미국은 자본주의의 대장인만큼 훨씬 많은 수의 파생상품을 자랑합니다.
특히나 2008년 리먼 브라더스의 해체를 불러일으킨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은 이런
파생상품의 폐해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 중에 하나입니다.
파생상품의 주요 목적은 헤지를 통한 레버리지 및 신금융상품 창조가 주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더 쉽게 설명하면 부동산 등의 형태로 존재하는 자산을 실제로
팔지 않고 권리만 사고파는 행위를 통해 현금 유동화 하는 과정이라고 이해하시면
편합니다.
이 과정에 있어서 미국 2008년에 핵심이 되었던 자산은 바로 부동산이었습니다.
#파생상품 과연 금융시장의 꽃인가 독인가?
당시 이런 거래가 가능했던 이유는 바로 미국의 부동산 버블 및 무지성에 가까운
모기지론(주택 담보 대출) 때문이었습니다.
영화 '빅쇼트'를 보신 분이라면 당시 금융기관들이 얼마나 나이브했는지 고스란히
표현되고 있지요.
이게 여기서만 끝났다면 이렇게까지 큰일이 되지 않았겠지만 미국인들은 여기서
해당 부동산을 활용해 파생상품들을 만들어 판매하기 시작했습니다.
원래 고액 부동산을 소유할 수 없는 수준의 사람들이 고액 대출을 통해 부동산을
구입하였고 그걸 다시 자산으로써 활용하라고 펀드 매니저들이 부추긴 탓이죠.
모두들 아시겠지만 부동산으로 수익을 내는 가장 편한 방법은 렌트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세와 월세가 되겠죠? 하지만 미국은 렌트라는 개념 밖에
없으니 렌트로 갈음하겠습니다.
여기서 미국의 파생상품 매니져들은 한번 더 머리를 썼습니다. 이런 렌트 수익에 대한
권리를 다시 파생상품으로 묶어서 금융상품으로써 대중에게 판매한 것이죠.
가뜩이나 부실한 부동산 매물이 2차 그리고 3차 파생상품을 만들어낸 것이죠.
부실한 다리 위에 2개의 무게추가 추가로 생성된 것입니다.
#기초가 부실하다면 파생상품은... 결국 끝이 정해져 있다.
즉, 조금 쉽게 가격으로 설명하자면 해당 부동산을 10억짜리라고 한다면 10억짜리
부동산으로 월 벌 수 있는 수익의 한계치를 약 500만 원이라고 했을 때 이를 쪼개서
10명에게 권리 보증금 1억, 월 수익 50만 원에 나누어 판매를 한 거죠.
당시엔 이런 파생상품을 천재적이라고 좋아했습니다. 수익 500만 원은 아직 확정되지
않은 수익이고 이런 수익은 렌트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을 때 가져갈 수 있는
수익이기에 이런 리스크를 10명에게 쉐어함으로써 벌어들이는 수익은 줄어들지만
그만큼 리스크를 분산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니까요.
바로 이런 걸 '자산 유동화 증권'이라고 하는데요. 사실 자산 유동화 증권은 상당히
좋은 아이디어이긴 합니다.
액면가로 보았을 때 팔기 힘든 고액의 자산을 유동화하여 투자 시장에
유동성(윤활 작용)을 제공하고 자산가 입장에서는 팔고 싶지 않은 부동산을 지키면서
금융 활동을 이어갈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모기지론이 터지기 일보 직전까지 이런 여러 부동산의 권리를 세트로 묶어서
판매하는 CDO가 유행했습니다. CDO는 부동산으로 인해 파생된 4차 파생상품이라고
할 수 있죠. 결과는 어떻게 되었는 줄 아시죠?
기초가 부실하였기에 모두 휴지 조각이 되었습니다....
파생상품이 이렇게 무서운 겁니다.
이유 없이 오르는 주식엔 작전이 있다. (0) | 2023.04.30 |
---|---|
주주 총회의 꽃(?), 주총꾼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3.04.19 |
미국 주식 배당 정보 확인 하는 방법 (0) | 2022.12.25 |
연말 인기를 끌고 있는 '배당주'는 무엇이 있는가? (0) | 2022.12.25 |
경제학자들의 끼워맞추기를 비판한 '흑조 이론'(블랙 스완) (0) | 2022.11.13 |